카노사의 굴욕은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4세와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가 주교 임명권을 두고 대립하다가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가 이긴 사건을 말합니다. 하지만 그 이후 전개되는 상황을 보면 교황이 승리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카노사의 굴욕의 진정한 승자가 누구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교황과 황제의 대립의 역사 카노사의 굴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 속에서 교황과 황제의 관계가 어떤 변화와 대립을 거듭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토 1세는 당시 이탈리아를 침공한 헝가리의 마자르족을 격퇴했고, 교황은 이에 감사했습니다. 그래서 로마 교황은 로마를 방문한 오토 1세에게 황제의 대관식을 해 주었습니다. 962년, 이때부터 신성로마제국이 출범하게 되었습니다. 오토 1세는 제후들의 세력을 억압하고 왕권을 ..
그리스의 도시 국가 스파르타는 일부의 시민 계급이 나머지 피지배인을 다스려야 했기 때문에 시민들은 강한 전사가 되어야 했고, 스파르타의 입법가 리쿠르고스는 스파르타의 사회 체제를 개혁하여 군국주의 체제를 완성했습니다. 스파르타는 아고게를 통해 강한 스파르타 전사를 양성했습니다. 도시 국가 스파르타의 탄생 배경 스파르타는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아래쪽에 위치한 도시 국가입니다. 펠로폰네소스 반도에는 스파르타와 메세니아, 아르고스가 있었습니다. 스파르타를 세운 사람들은 원주민이 아니었고, 위쪽에서 내려와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정착한 도리아인들이었습니다. 아테네는 산지가 많은 산악 지대였는데, 그리스 반도에서 유일하게 평야가 많고 토지가 비옥한 곳이 펠로폰네소스 반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파르타에는 평야가 있었기..
예루살렘은 이슬람, 기독교, 유대교의 성지로, 십자군 전쟁은 이슬람이 점령한 예루살렘을 교황의 십자군이 정복하기 위해 200년 동안 이어진 전쟁이었습니다. 2차 십자군 전쟁 때 등장한 이슬람의 쿠르드족 살라딘은 정의로운 신앙이라는 이름의 의미처럼 관용과 포용의 정신을 보여준 위대한 인물이었습니다. 그리고 리처드 1세는 살라딘에 맞서 2차 십자군을 이끌었고 살라딘과의 협상을 통해 2차 십자군 전쟁을 종식시켰습니다. 십자군 전쟁을 하게 된 이유와 1차 십자군 전쟁 십자군 전쟁은 성지 예루살렘을 두고 유럽 기독교 왕국과 이슬람 제국 간의 200년 간 이어진 전쟁을 말합니다. 인류 역사상 이렇게 길고 참혹했던 전쟁은 없었습니다. 예루살렘에는 유대교의 성지인 통곡의 벽이 있고, 그 뒤에 무함마드가 승천한 장소인 ..
이사벨 1세 여왕은 엔리케 4세에게 추방당했지만 그녀가 가진 비범함과 현명함으로 여왕의 자리에 올랐고, 아라곤의 왕 페르난도 왕자와 결혼하여 스페인 왕국을 탄생시켰습니다. 그리고,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았던 콜럼버스를 지원한 이사벨 1세는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한 여왕으로 이름을 남겼습니다. 이사벨 1세의 여왕이 되기 전 이야기 15세기 초 이베리아 반도의 카스티야에 이사벨 공주가 있었습니다. 그녀의 아버지는 후안 2세, 그녀의 어머니는 포르투갈 출신인 이사벨이었습니다. 어머니와 딸 이름이 모두 이사벨이고, 후에 이사벨 1세의 딸도 이사벨이라 이름 지었습니다. 카스티야의 지정학적 위치를 보면, 카스티야의 왼쪽에 포르투갈이 있고 오른쪽에는 아라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남쪽에는 그라나..
고대 로마에서는 전쟁 승리 후 데려온 전쟁 포로들을 검투사 경기에 투입하여 로마 시민들의 오락거리로 만들었고, 스파르타쿠스와 노예 검투사들은 힘든 훈련 과정과 가혹한 생활로 인해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그들의 반란은 성공하는 듯했으나 내부 분열과 해적의 배신으로 인해 결국 로마 정규군에게 패배했습니다. 검투사의 유래와 변천, 검투사의 유형 검투사의 영어 표현 글래디에이터는 글라디우스 검을 쓰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글라디우스는 당시 로마 군대의 보병들이 주로 사용하던 검을 말합니다. 글래디에이터는 보리 먹는 사람이라는 뜻의 호르데아리라고도 불렸습니다. 당시 로마에서 보리는 가축의 사료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검투사를 가축의 사료를 먹는 사람들이라고 비하하는 말이었습니다. 검투사는 고대 로마의 장례식에서 죽은 사..
해리엇 터브먼은 미국 남부의 목화 농장에서 일하는 노예였지만 필라델피아로 탈출하는 데 성공하여 자유와 평등의 가치를 실천했던 인물입니다. 그녀는 미국 남부 흑인들의 탈출을 위해 행동했으며, 미국 남북 전쟁에서 큰 활약을 했습니다. 그녀는 남북 전쟁에서 북부의 승리에 기여했지만 공로를 인정받지 못했고, 그 이후에도 그녀는 계속해서 여성 참정권 운동에 전념했습니다. 해리엇 터브먼의 노예로서의 삶과 자유를 위한 탈출 해리엇 터브먼의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아프리카에서 흑인 사냥을 당해서 강제로 미국으로 끌려가 노예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해리엇 터브먼의 부모도 미국 남부의 목화 농장의 노예였고, 그녀도 노예의 삶을 살아야 했습니다. 노예들은 주인으로부터 학대와 구타를 당하면서 비참하게 살았습니다. 그녀는 1..